it및 컴퓨터

구글이 공개한 A2A 프로토콜, MCP 방식과 무엇이 다를까?

IT야 놀자 2025. 4. 24. 08:02
728x90
반응형

 

📡 구글이 공개한 A2A 프로토콜, MCP 방식과 무엇이 다를까?

디지털 광고 세계는 끊임없이 진화 중입니다. 특히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, 구글은 기존의 추적 방식 대신 더 안전하고 프라이버시 친화적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어요. 그중 최근 주목받는 기술이 바로 A2A 프로토콜입니다.

그런데 이미 많이 쓰이던 MCP(Multi-Channel Protocol) 방식도 있는데요, 둘은 도대체 뭐가 다르고, 왜 A2A가 주목받는 걸까요? 오늘은 그 차이를 쉽게 풀어드릴게요.


🧩 A2A 프로토콜이란?

**A2A(Alps-to-Alps)**는 구글이 개발한 새로운 전환 추적 방식입니다. 핵심은 바로 광고 서버와 측정 서버가 직접 통신한다는 점이에요.

과거에는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의 브라우저나 기기를 통해서 전환 정보(예: 구매, 회원가입)를 추적했어요. 그런데 요즘은 쿠키 차단, 트래킹 방지 기능 등이 강화되면서 기존 방식이 점점 어려워졌죠.

그래서 구글은 새로운 길을 제안했습니다:

서버 to 서버, 즉 Alps-to-Alps로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자!

즉, 광고 클릭 정보는 Google Ads 서버에서, 전환 정보는 Google Analytics 같은 측정 서버에서 처리되고, 이 둘이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됩니다.

✅ A2A의 장점

  •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
    개인 식별 정보 없이도 전환 추적이 가능해요.
  •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
    쿠키 차단, 트래킹 제한 환경에서도 영향을 덜 받아요.
  • 더 정확한 성과 측정
    광고 성과를 안정적으로 분석할 수 있죠.

🔄 MCP 방식이란?

MCP는 Multi-Channel Protocol, 즉 다채널 전환 추적 방식이에요.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전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

예를 들어볼게요:

  1. 사용자가 인스타그램 광고를 봤어요.
  2. 다음 날 검색을 통해 웹사이트에 방문했죠.
  3. 결국 상품을 구매했어요.

이런 복잡한 여정을 분석하고자 MCP 방식이 등장했어요. SNS, 검색, 이메일, 유튜브 등 여러 채널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해서 사용자의 전환 경로를 추적합니다.

✅ MCP의 장점

  • 채널별 기여도 분석 가능
    어느 채널이 전환에 얼마나 영향을 줬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요.
  • 마케팅 전략 수립에 효과적
    어떤 채널에 집중해야 할지 인사이트를 줍니다.

하지만 MCP는 **사용자 식별자(쿠키, 디바이스 ID 등)**에 어느 정도 의존해요. 그래서 최근 환경에서는 신뢰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죠.


🔍 A2A vs MCP: 뭐가 다를까?

항목 A2A 프로토콜 MCP 방식

주요 목적 전환 추적의 프라이버시 보호 채널별 마케팅 성과 분석
작동 방식 서버 ↔ 서버 직접 통신 다양한 경로의 유입 추적
사용자 정보 의존도 거의 없음 중간~높음
브라우저 제약 대응력 매우 강함 상대적으로 약함
적용 사례 Google Ads ↔ GA 등 서버 기반 추적 크로스채널 어트리뷰션 분석

💡 마무리하며

A2A는 "어떻게 추적하느냐"의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이고,
MCP는 "무엇을 분석하느냐"에 더 집중된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.

광고 업계에서는 두 기술을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. 특히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요즘, A2A는 앞으로 더 널리 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
당신의 마케팅 전략에 A2A와 MCP, 어떤 방식이 더 잘 어울릴까요?


 

728x90
반응형